중국이 미국과 달리 금리를 낮추는 이유
지난 7월 발표한 헝다의 사업보고서를 보면, 2021년~2022년 2년간 당 기순손실 규모가 무려 8,120억 위안(약 146조 원)에 달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2022년 말 기준 헝다의 부채총액은 2조 4,400억 위안(약 439조 원)에 달한다. 그 뿐인가, 매년 어마어마한 빚이 계속 쌓이고 있다. 빚은 커녕 이자를 갚기도 힘드니 경제학 원리로 보면 파산을 하는 게 맞는 상황이다. 은행에서 대출 연장을 안 해주면 곧바로 파산 확정인데, 문제는 부도의 대미지(충격)가 너무 크다는 것이다. 완다의 상황도 비슷하다. 계열사 지분을 팔아 급한 불을 끄고는 있지만, 국내 채권 해외 채권 할 것 없이 계속 밀려들고 있고, 벌어들이는 돈이 부족하니 부채를 100년까지 연장해주지 않으면 대안이 없다는 말이 나올 정도로 대출 연장밖에 답이 없는 상황인 것이다. 결국, 중국 정부는 침체된 경기를 살리기 위해서라도 부동산이 이대로 무너지는 것을 손 놓고 구경만 하지는 못할 것이다. 실제로 중국은행 초청으로 관계자들과 만나 이야기해보면, 각론은 다를 수 있어도 부동산이 무너지면 안 된다는 총론에는 모두가 공감했다. 지금 부동산 시장이 무너지면 중국 경제의 경착륙은 예정된 수순이기 때문이다. 이런 인식 때문인지 중국 정부는 2019년 같은 경우 은행에 부동산 대출 자제를 권고한 반면, 지금은 최대한 대출을 부추기는 중이다. 실제로 전 세계가 인플레이션 압력으로 기준금리를 올리고 있는 상황에서, 중국은 대출 이자 부담을 낮춰주려고 거꾸로 금리를 내리고 있다. 부동산 대출 금리를 좀 더 낮 춰 집을 살 수 있는 수요를 끌어들이는 부동산 부양책을 시행하고 있는 것이 다. 특히 집값이 너무 올라 집을 살 엄두를 못 내는 젊은이들을 위해 임대주택 사업을 벌이고, 기존 대출 만기 상환을 연장해주고, 이자 부담을 줄여주는 등 다양한 정책으로 적어도 내년까지는 어떻게든 부동산 시장을 지탱하기 위해 안간힘을 쓰고 있는 모습이다. 다른 한편으로 현재 전 세계 국가들이 대부분 금리를 인상하는데도 중국만 계속 인하하고 있는 이유 중의 하나는 미래 주도산업에 대한 투자를 원활하게 하려는 목적이다. 그동안 중국 발전을 주도하며 대표선수로 자리 잡았던 건설, 부동산업의 의존도를 줄이면서 동시에 새로운 대표 산업으로 교체하려는 요량인 것이다. 다행히 전기자동차, 신재생에너지 같은 시장이 빠르게 성장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특히 전기자동차는 부동산처럼 산업의 밸류 체인이 넓다는 장점을 지니고 있다. 전기자동차를 끌어 올리면 방대한 관련 산업이 함께 발전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중국 정부의 전략은 성공할 수 있을까? 중국 경제의 대표선수 교체 작업이 제대로 이루어질지 아직은 정확하게 결론 내리기가 힘들다.
댓글